
SM엔터는 3일 SM엔터 공식 유튜브 채널 및 홈페이지를 통해 'SM 3.0: IP 전략 - 멀티 제작센터·레이블' 체계를 선언했다. 이성수, 탁영준 공동대표는 이 자리에서 SM 3.0의 방향성을 설명하고 4대 성장 전략 발표를 예고, 그 중 첫 번째인 프로듀싱 전략을 상세히 소개했다.
SM엔터는 'SM 1.0'을 H.O.T.가 데뷔한 1996년부터 창업주인 이수만 프로듀서의 주도로 보아(BoA),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등 대형 아티스트들이 탄생시킨 2010년까지, 'SM 2.0'을 이 프로듀서가 회사 총괄 프로듀서로 나서 엑소, 레드벨벳, NCT, 에스파(aespa) 등을 탄생시키고 사내에 프로듀싱 역량을 가진 인력을 갖추게 된 2022년까지로 정의 내렸다.
이어 올해부터 'SM 3.0'이 열렸다고 공언했다. SM엔터는 미래 성장 동력이 될 4대 전략으로 IP, 사업, 해외, 투자 전략을 꼽으며 △엔터테인먼트업의 본질인 양질 IP 제작 △IP의 사업적 수익화 △글로벌에서의 IP 확장 △IP를 통해 수익화된 재무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음악 퍼블리싱 사업, 레이블의 인수, 팬덤 이코노미 비즈니스, 메타버스 등 신규 사업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SM엔터는 메가 IP 제작을 위한 멀티 제작센터·레이블 체계를 도입한다고 알렸다. 이는 멀티 제작센터, 멀티 레이블, 음악 퍼블리싱 전문 자회사 설립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멀티 제작센터·레이블 체계는 IP 제작 및 운영 노하우는 유지하되 제작 역량은 확장하고 주체적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를 통해 사업 의사 결정 권한을 각 디렉터에게 위임하는 체계. IP 제작 속도를 가속화하고 SM 스탠다드를 고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에 따라 SM엔터는 향후 SM 소속 아티스트를 5+1개의 제작 센터로 구분, 아티스트 전담 제작·핵심 기능을 배치한다. 5개 제작 센터를 통해서는 독립적인 의사결정 보장 및 창작 자율성을 존중하여 더욱 강화된 IP 창출력을 선보일 예정. 1개의 제작 센터는 가상 아티스트·IP 제작 센터로 나이비스(Naevis) 등 버추얼 아티스트 제작 및 운영 관리를 전담한다.
현재 이 프로듀서의 향후 구체적인 계획은 알려진 건 없다. 다만 최근 음악 산업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중동 등 각지에서 그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만큼 'K팝 전도사'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또 '나무 심는 K팝 페스티벌' 등을 제안한 만큼 대외적으로 K팝의 선한 이미지를 쌓는데도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된다.
SM은 IP의 수익화 전략, 글로벌 사업 확대, 미래 사업 투자 등을 비롯한 회사의 현황과 계획, 목표에 대해선 이달과 3월 중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